한라산 등반 코스 추천, 백록담까지 가는 길 정리
한라산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1,947m)으로,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제주도의 명소입니다. 특히, 정상에 위치한 백록담은 신비로운 분화구로, 많은 등산객들이 한라산을 찾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한라산 등반 코스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뉩니다. 이 중 백록담까지 오를 수 있는 코스는 ‘성판악 코스’와 ‘관음사 코스’ 두 곳이며, 나머지 두 코스(영실·어리목)는 정상까지 갈 수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라산 등반 코스를 비교 분석하고, 난이도·소요시간·예약 방법 등을 정리해드립니다. 또한, 계절별 준비물과 안전한 등산을 위한 팁도 함께 제공하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
|
한라산 등반 코스 추천 |
한라산 등산 코스 개요
한라산 등반 코스는 총 4개가 있으며, 이 중 성판악 코스와 관음사 코스만 백록담 정상까지 등반 가능합니다. 각 코스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성판악 코스
- 정상 등반: 가능
- 편도 거리: 9.6km
- 소요 시간: 4시간 30분 ~ 5시간
- 특징: 가장 긴 코스지만 경사가 완만하여 초보자에게 추천합니다.
관음사 코스
- 정상 등반: 가능
- 편도 거리: 8.7km
- 소요 시간: 5시간 ~ 6시간
- 특징: 경사가 가파른 편이라 체력 소모가 많습니다.
영실 코스
- 정상 등반: 불가능 (윗세오름까지만 가능)
- 편도 거리: 3.7km
- 소요 시간: 2시간 ~ 2시간 30분
- 특징: 한라산의 아름다운 경치를 만끽할 수 있어 가장 인기가 많습니다.
어리목 코스
- 정상 등반: 불가능 (윗세오름까지만 가능)
- 편도 거리: 4.7km
- 소요 시간: 2시간 30분 ~ 3시간
- 특징: 비교적 완만하여 가족 단위 등산객에게 추천합니다.
주의사항: 왕복 시에는 하산 시간을 추가로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성판악 코스는 왕복 약 9~10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백록담까지 가는 주요 등반 코스
백록담 정상까지 오를 수 있는 코스는 성판악 코스와 관음사 코스 두 가지입니다.
|
| 백록담 |
성판악 코스: 초보자 추천 코스
코스 개요
- 부제: 초보자 추천, 가장 인기 있는 코스
- 출발지: 성판악 탐방로 입구
- 총거리: 9.6km (편도)
- 평균 소요시간: 4시간 30분 ~ 5시간 (편도)
- 특징
- 한라산 등산로 중 가장 길지만, 경사가 완만하여 초보자도 도전할 수 있습니다.
- 등산로가 대부분 돌길과 나무 데크로 되어 있어 비교적 걷기 편합니다.
- 중간에 사라오름을 둘러볼 수 있는 갈림길이 있습니다.
세부 구간 정보
1. 성판악 탐방로 입구 → 속밭 대피소
- 구간 거리: 4.1km
- 예상 소요 시간: 약 1시간 30분
- 특징: 초반에는 완만한 흙길로 시작하여 점차 돌길로 바뀝니다.
2. 속밭 대피소 → 진달래밭 대피소
- 구간 거리: 3.3km
- 예상 소요 시간: 약 1시간 30분
- 특징: 숲길과 돌길이 번갈아 나타나며, 진달래밭 대피소에서 잠시 쉬어가기 좋습니다.
3. 진달래밭 대피소 → 백록담 정상
- 구간 거리: 2.2km
- 예상 소요 시간: 약 1시간 30분
- 특징: 정상으로 향하는 본격적인 오르막 구간으로, 체력 소모가 많습니다.
관음사 코스: 고난도지만 아름다운 경치
코스 개요
- 부제: 경치가 아름답지만 난이도 높은 코스
- 출발지: 관음사 탐방로 입구
- 총거리: 8.7km (편도)
- 평균 소요시간: 5시간 ~ 6시간 (편도)
-
특징
- 경사가 가파르고 바위 계단 구간이 많아 체력 소모가 큽니다.
- 삼각봉, 계곡, 숲길 등 다양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 하산 시 무릎에 부담이 갈 수 있으므로 등산 스틱 사용을 추천합니다.
- 성판악 코스보다 이용객이 적어 비교적 한적합니다.
세부 구간 정보
1. 관음사 탐방로 입구 → 삼각봉 대피소
- 구간 거리: 6.1km
- 예상 소요 시간: 약 3시간
- 특징: 급경사 구간이 많으며, 삼각봉에서 멋진 경치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2. 삼각봉 대피소 → 백록담 정상
- 구간 거리: 2.6km
- 예상 소요 시간: 약 2시간 30분
- 특징: 바위길과 계단이 많아 체력적으로 힘든 마지막 구간입니다.
성판악 vs 관음사: 코스 선택 가이드
한눈에 비교하기
| 비교 항목 | 성판악 코스 | 관음사 코스 |
|---|---|---|
| 거리 (편도) | 9.6km | 8.7km |
| 소요시간 (편도) | 4시간 30분 ~ 5시간 | 5시간 ~ 6시간 |
| 난이도 | 쉬움 ~ 보통 | 어려움 |
| 경사도 | 완만한 편 | 가파른 편 |
| 추천 대상 | 초보자, 체력 부담 적은 등산객 | 숙련자, 체력 좋은 등산객 |
| 주요 경치 | 사라오름, 울창한 숲길 | 계곡, 삼각봉, 화산지형 |
| 이용객 수 | 많음 (인기 코스) | 적음 (한적한 코스) |
결론 및 추천
- 등산 초보자라면 성판악 코스를 추천합니다.
- 멋진 경치를 중시하고 체력에 자신 있다면 관음사 코스를 추천합니다.
- 대중교통 이용객이라면 성판악으로 올라가 관음사로 하산하는 코스도 좋은 선택입니다. (서로 다른 풍경 감상 가능)
한라산 등반 코스별 비교
한라산 등반을 계획할 때, 코스별 난이도, 소요시간, 경치 차이 등을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자신의 체력과 일정에 맞는 최적의 코스를 선택하세요.
|
| 한라산 등산 코스 |
성판악 코스
- 총거리: 9.6km (편도)
- 소요시간: 4시간 30분 ~ 5시간 (편도)
- 난이도: 중 (완만한 경사)
- 정상 도착: 가능 (백록담)
- 경치 특징: 숲길, 사라오름
- 추천 대상: 초보자, 장거리 걷기가 가능한 분
- 입산 시간: 동절기(11~2월) 오전 6시~오전 12시
관음사 코스
- 총거리: 8.7km (편도)
- 소요시간: 5시간 ~ 6시간 (편도)
- 난이도: 높음 (가파른 경사)
- 정상 도착: 가능 (백록담)
- 경치 특징: 계곡, 삼각봉, 화산지형
- 추천 대상: 숙련자, 체력이 좋은 등산객
- 입산 시간: 동절기(11~2월) 오전 6시~오전 12시
영실 코스
- 총거리: 3.7km (편도)
- 소요시간: 2시간 ~ 2시간 30분 (편도)
- 난이도: 쉬움 (짧은 거리)
- 정상 도착: 불가능 (윗세오름까지만)
- 경치 특징: 오르막이 짧고 경치가 좋음
- 추천 대상: 당일치기 등산객, 경치 감상을 즐기는 분
- 입산 시간: 동절기(11~2월) 오전 6시~오후 12시
어리목 코스
- 총거리: 4.7km (편도)
- 소요시간: 2시간 30분 ~ 3시간 (편도)
- 난이도: 쉬움 (완만한 길)
- 정상 도착: 불가능 (윗세오름까지만)
- 경치 특징: 초보자에게 좋고 완만한 코스
- 추천 대상: 가족 단위, 가벼운 등산을 원하는 분
- 입산 시간: 동절기(11~2월) 오전 6시~오후 12시
최종 코스 선택 가이드
- 백록담 정상까지 가고 싶다면 성판악 또는 관음사 코스를 선택하세요.
- 체력에 부담을 느끼거나 가벼운 산행을 원한다면 영실 또는 어리목 코스로 윗세오름까지 등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주의사항: 정상까지 가려면 계절별 입산 제한 시간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백록담 정상에는 보통 오후 1시 30분(동절기 1시) 이전에 도착해야 합니다.
한라산 등반 시 필요한 준비물
![]() |
| 한라산 등반 준비 |
한라산은 해발 1,947m의 높은 산으로, 기온 변화가 심하고 날씨가 급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눈과 얼음이 많아 안전장비가 필수입니다.
필수 준비물 (사계절 공통)
- 등산화: 접지력이 좋은 등산화를 착용해야 미끄럼 방지 가능
- 방수·방풍 재킷: 날씨 변화에 대비해 반드시 챙길 것
- 모자, 장갑: 강한 햇빛과 바람을 차단
- 배낭 (20~30L 추천): 물과 간식을 담을 수 있는 크기
- 물 & 간식: 500ml~1L 물통과 초콜릿, 견과류 등 간편한 에너지 보충식
- 선크림 & 선글라스: 고지대 자외선이 강하므로 필수
계절별 추가 준비물
| 계절 | 추가 준비물 |
|---|---|
| 봄 (3~5월) | 바람막이, 긴팔 옷 (아침·저녁 쌀쌀) |
| 여름 (6~8월) | 자외선 차단제, 쿨토시, 모기 기피제, 여벌옷 (땀 대비) |
| 가을 (9~11월) | 방풍 재킷, 따뜻한 옷 (기온 차 큼) |
| 겨울 (12~2월) | 아이젠, 스패츠, 두꺼운 장갑, 방한복, 보온병 (핫팩 추천) |
한라산 등산 시 주의할 점
- 기온이 낮고 바람이 강할 수 있으므로 방한 대비 필수
- 겨울철에는 아이젠 없이 등반 금지 (눈·얼음길 미끄러움)
- 백록담 정상에는 화장실이 없으므로 대피소에서 미리 해결
- 쓰레기는 반드시 되가져오기 (국립공원 내 취사 및 쓰레기 투기 금지)
한라산 국립공원 탐방 예약 방법
한라산은 등반은 사전 예약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입산 가능 인원이 제한되므로, 반드시 사전 예약 후 방문해야 합니다.
한라산 탐방 예약이 필요한 코스
- 성판악 코스 (1일 1,000명)
- 관음사 코스 (1일 500명)
- 영실 코스와 어리목 코스는 예약 없이 이용 가능
한라산 탐방 예약 방법
- 한라산 탐방 예약 시스템 접속
- 원하는 날짜와 코스 선택 (최대 1개월 전 예약 가능)
- 이름, 연락처 입력 후 예약 완료
- 예약 확인 문자(SMS) 및 QR코드 수신
- 입산 당일 신분증 + 예약 QR코드 제시 후 입장
한라산 탐방 예약 시 주의할 점
- 예약 변경 및 취소 가능 (탐방일 전날까지 가능)
- 미예약자는 입산 불가 (현장 예약 없음)
- 탐방 예약은 무료 (별도 비용 없음)
- 예약 후 미방문 시, 패널티 적용될 수 있음
한라산 등반을 계획 중이라면 미리 탐방 예약을 완료하고 방문하세요!
한라산 등반은 코스별 난이도와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백록담 정상까지 가려면 사전 예약이 필수이며, 계절별 준비물도 철저히 챙겨야 합니다. 자신의 체력과 일정에 맞는 최적의 코스를 선택해 아름다운 한라산을 안전하게 등반하세요!
제주도 여행 버킷리스트! 꼭 가봐야 할 명소 10곳 - 지비라이프
제주도 여행을 계획 중이라면? 현지인이 추천하는 제주도 가볼 만한 곳 베스트10 ! 성산일출봉, 우도, 협재 해변, 한라산, 동문시장 등 꼭 가봐야 할 제주 필수 여행지를 소개합니다. 제주 여행 버킷리스트로 활용해 보세요!
gybelife.com
제주도 가족 숙소 추천, 성수기에도 10만원대 서귀포월드컵 리조트 후기 - 지비라이프
성수기에도 10만원대에 머물 수 있는 서귀포 월드컵 리조트 후기. 방 2개 구조로 가족여행에 최적화된 객실, 조식 서비스와 편의시설, 아쉬운 점까지 솔직하게 정리했습니다
gybelife.com



